2012.04.06 09:09
1. 모드 전환
a 커서의 오른쪽에서 입력을 받음
A 줄의 마지막에서 입력을 받음
i 커서의 왼쪽에서 입력을 받음
I 줄의 처음에서 입력을 받음
o 현재 줄 아래에 빈 줄을 추가하며 입력을 받음
O 현재 줄 위에 빈 줄을 추가하여 입력을 받음
esc 입력모드에서 빠져나감
2. 커서의 이동(명령 mode)
1) 글자 단위 이동
k 상
j 하
h 좌
l 우
2) 줄 단위 이동(n은 임의의 숫자를 나타냅니다.)
^ 열의 맨 앞으로 (빈칸무시)
H 화면상의 처음 줄로
0 열의 맨 앞으로
M 화면상의 중간 줄로
$ 열의 맨 뒤로
L 화면상의 마지막 줄로
% 짝을 이루는 기호 확인하기
n| 현재 줄의 n 번째 열로
+ 다음 줄의 첫 번째 글자로
nH 화면상의 처음 열로부터 n 줄 밑으로
- 윗줄의 첫 번째 글자로
nL 화면상의 마지막 열로부터 n 줄 위로
G 맨 마지막 줄로
nG n 번째 줄로
gg 맨 마지막 줄로
ngg n 번째 줄로
3) 단어 단위 이동
w 오른쪽 특수 문자나 단어 처음으로
W 오른쪽 단어 처음으로
b 왼쪽 특수 문자나 단어 처음으로
B 왼쪽 단어 처음으로
e 오른쪽 특수 문자나 단어 끝으로
E 오른쪽 단어 끝으로
4) 화면단위 이동
Control - f 한 화면 밑으로 이동
Control - b 한 화면 위로 이동
Control - d 반쪽 화면 위로 이동
Control - u 반쪽 화면 위로 이동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6 | 서버의 바이오스,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최대 메모리 확인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3.23 | 19801 |
305 | arp 명령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2.03.27 | 28535 |
304 | top 명령어 및 옵션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03.27 | 53403 |
303 | Swap 메모리 늘리기 | 호스트웨이 | 2012.03.30 | 67703 |
302 | 현재 설치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3.30 | 33146 |
301 | 하드디스크의 배드블럭을 검사하는 명령어 (badblocks) | 호스트웨이 | 2012.03.30 | 21507 |
300 | find 명령어-1 | 호스트웨이 | 2012.03.30 | 15278 |
299 | Linux 서버 root password 분실시 변경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3.30 | 24474 |
298 | VI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03.30 | 14207 |
297 | Linux Charset 확인 및 변경 | 호스트웨이 | 2012.03.30 | 87032 |
» | VI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2) | 호스트웨이 | 2012.04.06 | 14118 |
295 | Linux lastlog를 이용한 최근 접속정보 확인 | 호스트웨이 | 2012.04.06 | 20126 |
294 | 계정 생성 시 ftp 계정만 주고 Shell 로그인 차단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4.06 | 24228 |
293 | ipv6 비활성화 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4.06 | 25858 |
292 | 서버 아이피 변경으로 인한 다량의 네임서버 존파일 일괄 변경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4.06 | 15082 |
291 | vsftpd.conf 옵션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04.06 | 17215 |
290 | chattr 명령을 이용한 파일 속성 변경 | 호스트웨이 | 2012.04.07 | 18919 |
289 | 서비스 이름으로 포트 번호 확인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4.13 | 58638 |
288 | 국가명 약어 (국가코드) | 호스트웨이 | 2012.04.13 | 66323 |
287 | ngrep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2.04.13 | 17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