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09 17:47
# 최근 Linux 들은 대체로 UTF-8 환경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WAS 및 DATABASE 역시 UTF-8 환경으로 구성하는 추세 입니다.
SAMBA 를 이용하여 Disk Mount 를 사용하는 경우에 혹은 Windows 파일서버로 이용하는 경우
한글로 된 폴더 및 파일명이 깨져 나올때가 있습니다. 그럴때의 해결 방법 입니다.
1. SAMBA 설정된 서버를 확인한다.
2. vi /etc/samba/smb.conf
- samba 설정파일을 열어 줍니다.
3. 설정파일에 global 이라고 써진 곳 아래에 다음과 같이 입력 합니다.
- dos charset = cp949
- display charset = UTF8
- unix charset = UTF8
4. 설정파일을 저장하고 smb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 /etc/init.d/samba restart
- service samba restar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26 |
Login 실패시 계정 잠그기 및 PAM 설정
![]() | 호스트웨이 | 2016.01.04 | 31307 |
325 | SSH(Secure shell)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0889 |
324 | ramdisk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0527 |
323 | script 명령어 이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0401 |
322 | ethtool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0153 |
321 | 폴더에 다수의 파일을 삭제하기 | HOSTWAY | 2009.02.19 | 29985 |
320 | ssh에서 일반계정들의 접속을 제한 하는 방법 | 호스트웨이 | 2008.05.19 | 29943 |
319 | nmap 사용법 | sylee | 2008.05.15 | 29819 |
318 |
Putty 접속 시 창 분할하는 방법(screen 이용)
![]() | 호스트웨이 | 2012.07.27 | 29731 |
317 | 리눅스에서 shutdown 명령어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6.29 | 29588 |
316 | 리눅스 UTF-8 언어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07 | 29462 |
315 | User생성시 홈디렉토리 자동생성하기 | sylee | 2008.05.15 | 29428 |
314 | 리눅스에서 pkill, pgrep 명령어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6.22 | 29369 |
313 | mrtg를 이용한 트래픽 모니터링(debian 5.0) | jook | 2009.06.02 | 29356 |
312 | vsftpd.conf 설정 | jook | 2009.06.03 | 29303 |
311 | 많이 사용되는 리눅스 명령들 | sylee | 2008.06.11 | 29226 |
310 | 리눅스 daemon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08.10 | 28977 |
309 | grub 사용방법 | sylee | 2008.05.15 | 28842 |
308 | atop like top | HOSTWAY | 2008.06.04 | 28809 |
307 | arp 명령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2.03.27 | 286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