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7 02:10
웹서버 운영시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인 /tmp가 필요합니다.
/tmp 디렉토리는 기본값으로 아무나 읽고, 쓰고, 실행하도록 설정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서비스를 통해 /tmp 디렉토리에 악성, 해킹 스크립트를 넣어서 실행 시킬 수 있어, 서버 보안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fstab파일의 /tmp 디렉토리에 권한 값을 수정하여 줍니다.
(*fstab란, 리눅스 부팅시 각 파티션으로 마운트하는 정보 및 권한 등에 대한 설정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입니다.)
#주의 /tmp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구동 중이라면,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nginx, php, mysql등...)
[root@yclee ~]# vi /etc/fstab
/tmp설정 중 defaults로 되어있는 부분에 noexec,nodev,nosuid를 추가한 뒤 저장합니다.
*noexec : 사용자가 실행 파일의 실행을 할수없도록 설정합니다.
*nodev : 특별한 장치나 문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불가하도록 설정합니다.
*nosuid : SUID/SGID 접근이 불가하도록 설정합니다.
/var/tmp 심볼릭링크 설정
/tmp 디렉토리 이외에도 /var/tmp 디렉토리가 존재기때문에, 서로 동일하도록 심볼릭 링크를 설정해줍니다.
[root@yclee ~]# rm -rf /var/tmp
/var/tmp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oot@yclee ~]# ln -s /tmp /var/tmp
/var/tmp 접속시 /tmp로 연결 되도록 링크 설정합니다.
[root@yclee ~]# reboot
fstab 설정을 변경한 뒤엔 서버를 재부팅해야 해당 설정이 적용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66 | 오늘 생성한 파일만 조회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2.27 | 4872 |
265 | /etc/fstab 등록 | 호스트웨이 | 2015.09.22 | 5034 |
264 |
SFTP 접속 방법
![]() | 호스트웨이 | 2012.09.21 | 5051 |
263 | 서버 계정을 다른서버로 이전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5193 |
262 | 서버시간 매시간마다 동기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5217 |
261 | partprobe - 리부팅 없이 사용 중인 파티션 재인식 | 호스트웨이 | 2012.12.28 | 5240 |
260 | lrzsz 사용해보기 | 호스트웨이 | 2012.10.12 | 5270 |
259 |
SVN(subversion) 설치 및 셋팅
![]() | 호스트웨이 | 2014.12.02 | 5588 |
258 | 리눅스 파일 소유자, 권한 일괄 변경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08 | 5726 |
257 | root 초기 접속 홈디렉토리 변경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12 | 5937 |
» |
/tmp 디렉토리 보안 설정하기
![]() | 호스트웨이 | 2015.09.17 | 6131 |
255 | hadoop 1.x 설치 &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18 | 6494 |
254 | i386, i586, i686, x86의 차이 | 호스트웨이 | 2012.11.01 | 6497 |
253 | 우분투 기본 쉘 dash 에서 bash로 변경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07 | 6715 |
252 | extundelete tool을 이용하여 삭제된 파일 복구하기 | 호스트웨이 | 2016.02.29 | 7017 |
251 | 리눅스 CD로 손상된 파일 복구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9 | 7149 |
250 |
리눅스 uniq 명령어
![]() | 호스트웨이 | 2012.12.27 | 7609 |
249 | vsFTPd 사용시 디렉토리 목록 조회가 안될때 | 호스트웨이 | 2012.11.30 | 7823 |
248 |
Sysbench를 통한 System, MySQL 성능 테스트
![]() | 호스트웨이 | 2015.06.26 | 8979 |
247 | bonding mode 종류 알아보기 | 호스트웨이 | 2012.11.08 | 9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