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03 01:38
리눅스에서 시스템 폴더별 명령어 알아보기
[/bin 디렉토리 명령어]
ping - ICMP ECHO_REQUEST 패킷을 네트워크 호스트에 전송하여 네트워크 연결성 확인
kill - 프로세스를 종료.
pwd - 현재 사용하는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보여줌
awk - 원본 문서에서 패턴을 검사해 원하는 값을 얻을때 사용.
echo - 시스템의 환경변수 또는 입력문자를 출력.
ln - 파일을 실제 경로가 아니라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다른 경로로 링크.
traceroute - 지정한 호스트로 가는 네트워크 경로를 보여줍니다.
rm -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시 사용
bash - bash쉘 사용
login - 시스템에 접속하여 개인 설정파일을 일고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한 인증 명령.
rmdir - 디렉토리를 삭제시
ls - 디렉토리와 파일의 목록을 보여준다.
rpm - 시스템에 쉽게 프로그램을 설치하기위한 redhat사의 패키지 관리자 명령.
umount - 마운트 장치를 해제시 사용
cat - 텍스트 파일 내용을 표준 출력하여 보여줌
mail -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uname -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줌.
chgrp - 파일의 소유그룹을 변경.
mkdir - 디렉토리를 만들때
chmod - 파일의 권한을 변경할때 사용.
chown -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할때 사용.
cp - 파일을 복사함
more - 파일을 원하는 형식으로 보여줌.
grep - 입력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여 그 문자열이 있는 줄 출력.
mount - 장치를 마운트 시 사용
vi - vi 편집기 실행.
csh - c쉘 사용.
sleep - 주어진 시간만큼 아무 동작도 하지 않고 대기합니다.
cut - 파일에서 원하는 필드를 보여줌
gunzip - gzip 형식의 압축을 해제시 사용
mv - 파일을 이동함.
sort -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
date - 시간과 날짜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함.
gzip - 파일을 압축하여 용량을 줄여줌
netstat - 현재 네트워크의 연결 내역과 사용하는 포트 확인.
stty - 터미널 라인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
zcat - 압축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음.
hostname - 시스템 이름을 학인하고 설정함.
nice - 스케줄링 우선권을 변경하여 프로그램이 작동할 때 할당되는 순위를 변경합니다.
su - 로그아웃 없이 임시로 다른 사용자의 UID, GID를 로긴.
df - 현재 마운트되어있는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출력.
tar - 여러 파일,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을때 사용.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26 | 리눅스 du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2.10.25 | 13257 |
225 | VI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03.30 | 13371 |
224 |
리눅스 사용자에게 메시지 보내기
![]() | 호스트웨이 | 2012.10.04 | 13388 |
223 |
-, -- 로 시작하는 파일 지우는 팁
![]() | 호스트웨이 | 2012.05.11 | 13401 |
222 |
리눅스 디스크 사용량 확인
![]() | 호스트웨이 | 2012.04.27 | 13786 |
221 | find 명령 2번째 | 호스트웨이 | 2012.04.20 | 13846 |
220 | find 명령 사용 예제들 | 호스트웨이 | 2012.06.29 | 14085 |
219 | /proc의 퍼미션 조정으로 보안 강화 | 호스트웨이 | 2012.05.18 | 14122 |
218 | 특정 IP 엑세스 못하게 하는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6.22 | 14151 |
217 | find 명령어-1 | 호스트웨이 | 2012.03.30 | 14431 |
216 | 리눅스 vsftp 자세한 log남기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10.11 | 14526 |
215 | 서버 아이피 변경으로 인한 다량의 네임서버 존파일 일괄 변경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4.06 | 14536 |
214 | yum 업데이트시 특정 패키지 예외처리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8.23 | 14580 |
213 | 안전한 패스워드 생성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6.08 | 14735 |
212 |
실수로 압축해제 한 파일들 삭제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04.27 | 14742 |
211 | 도메인 Status Code | 호스트웨이 | 2012.04.27 | 14769 |
210 | IBM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로그인 정보 | 호스트웨이 | 2012.07.06 | 14777 |
209 | netstat 명령 옵션-2 | 호스트웨이 | 2012.09.13 | 14809 |
208 | 리눅스에서 Which 명령어로 명령어 경로 확인 | 호스트웨이 | 2012.07.13 | 14838 |
207 | 커널패닉시 자동리부팅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8.24 | 148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