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20 08:14
SED 명령어 사용법
ed명령어와 grep명령어 기능의 일부를 합친 것이 sed(stream editor)명령어입니다
이 sed 명령어가 ed보다 좋은 점은 라인들을 하나씩 읽고 , 수정하고, 출력하기 때문에
기억장치 안의 버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버퍼를 사용하지 않으면 화일의 크기에
제한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sed 명령
---------------------------------------------------------------------------------------
a 다음 라인(들)을 적용될 라인들에 부가한다 (라인뒤)
c 적용될 라인들을 다음 라인(들)로 변경한다 (라인 대체)
d 적용될 라인들을 삭제
g 단지 첫번째의 것만이 아니라 라인의 모든 부합 패턴 대체가 적용 되게 함
i 다음 라인(들)을 적용될 라인들 위에 삽입 (라인앞)
p - n 옵션하에 있을지라도, 라인을 프린트
q 명시된 라인에 도달할 때 중지함
r filename filename을 판독함
s/old/new/ "old"를 "new"로 대체함
= 라인 번호를 프린트함
!command 라인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command를 적용함.
--------------------------------------------------------------------------------------
예)
# sed "s/hello/goodbye" in.txt
위의 명령어는 in.txt이라는 화일에 있는 각 라인에서 첫번째 등장하는 hello라는 문자열을
goodbye로 교체한 후 그 라인을 표준 출력에 출력하는 예
# sed "/hello/d" in.file
위 의미는 "hello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라인을 찾아 그 라인을 삭제하라"는 명령임.
# sed "3,7s/hello//" in.file
위의 명령어는 in.file이라는 화일의 라인3에서 7까지만을 대상으로 첫번째 hello를 삭제하고
화일의 그 외의 부분은 변경시키지 않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46 |
Sysbench를 통한 System, MySQL 성능 테스트
![]() | 호스트웨이 | 2015.06.26 | 8101 |
245 | bonding mode 종류 알아보기 | 호스트웨이 | 2012.11.08 | 8383 |
244 | 리눅스 du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2.10.25 | 8908 |
243 | 리눅스 프로세스별 메모리 사용량 확인 | 호스트웨이 | 2012.12.06 | 8939 |
242 | 두 파일 비교 diff 의 기본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5.09.14 | 8977 |
241 | vi 로 ^M 제거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1.15 | 9618 |
240 |
리눅스 일반사용자에게 root 권한 부여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1.23 | 9682 |
239 | debian / ubuntu SSH root 사용자 접속 허용 | 호스트웨이 | 2012.11.23 | 10566 |
238 |
리눅스 사용자에게 메시지 보내기
![]() | 호스트웨이 | 2012.10.04 | 10574 |
237 | LILO - Warning: /dev/sda not first disk 에러 발생시 | 호스트웨이 | 2012.08.24 | 10665 |
236 | sshd_config 파일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11.29 | 10985 |
235 |
chfn 명령어를 통한 사용자 정보변경
![]() | 호스트웨이 | 2012.09.07 | 11151 |
234 | 리눅스 Ubuntu 네트워크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09.14 | 11320 |
233 | 리눅스 vsftp 자세한 log남기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10.11 | 11330 |
232 | CentOS yum 빠르게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9.14 | 11380 |
231 | 리눅스 Memory관리 | 호스트웨이 | 2012.08.24 | 11390 |
230 | 틀린명령어 틀린글자만 바꿔서 실행하는 간단한팁 | 호스트웨이 | 2012.08.23 | 11528 |
229 | 문자열 치환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0.12 | 11564 |
228 | cron table의 각 필드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08.31 | 11828 |
227 | 리눅스 명령어 알아보기-3 | 호스트웨이 | 2012.08.23 | 119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