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22 13:20
L4 로드밸런서 알고리즘
1. Hashing algorithm
Hashing (hash) 알고리즘에서는 새로은 연결(TCP/UDP)시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 hashing key를 가지고 경로를 지정합니다.
Hashing key는 클라이언트의 IP + port 혹은 IP 주소만으로 결정됩니다.
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적게 소모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2. Round-robin algorithm
모든 클라이언트는 동일하게 취급되며 실 서버 혹은 경로는 같은 처리량을 보유해야 합니다.
SLB에 많이 사용되며 만약 각기 다른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가 있을 경우
weigted round-robin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입니다.
Ex) A, B 두대의 서버가 존재하며 100번의 요청이 있을 경우.
A : 50
B : 50
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모두 동일하게 처리 됩니다.
3. Weighted round-robin algorithm
Weighted round-robin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가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가중치를 주어 많이 처리할 수 있는 서버로 많은 트래픽을 할당합니다.
Ex) A, B 두대의 서버가 존재하며 100번의 요청이 있을 경우.
/ 가중치 A : 8 , B : 2
A : 80
B : 20
4. Least connection algorithm
이 알고리즘은 연결 수가 가장 적은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방향을 정합니다.
동적인 분산 알고리즘으로 각 서버에 대한 현재 연결 수를 동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습니다.
동적으로 변하는 요청에 대한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5. Weighted least-connectin algorithm
이 알고르짐은 서버의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least-connection scheduling을 적용하여 트래픽을 고루게 분산시키는 방법입니다.
위에서 언급 된 장점들이 모두 합쳐져 있는 알고리즘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중치와 여러 연산이 필요하기에 가장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46 | LILO - Warning: /dev/sda not first disk 에러 발생시 | 호스트웨이 | 2012.08.24 | 12097 |
245 | 서버시간 매시간마다 동기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2223 |
244 | cron table의 각 필드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08.31 | 12285 |
243 | 우분투 기본 쉘 dash 에서 bash로 변경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07 | 12314 |
242 | 리눅스 명령어 알아보기-3 | 호스트웨이 | 2012.08.23 | 12484 |
241 | 두 파일 비교 diff 의 기본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15.09.14 | 12552 |
240 |
리눅스 일반사용자에게 root 권한 부여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1.23 | 12798 |
239 | 서버 계정을 다른서버로 이전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2827 |
238 | 문자열 치환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0.12 | 12856 |
237 | 리눅스 프로세스별 메모리 사용량 확인 | 호스트웨이 | 2012.12.06 | 13166 |
236 | CentOS yum 빠르게 사용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9.14 | 13521 |
235 | extundelete tool을 이용하여 삭제된 파일 복구하기 | 호스트웨이 | 2016.02.29 | 13614 |
234 |
-, -- 로 시작하는 파일 지우는 팁
![]() | 호스트웨이 | 2012.05.11 | 13823 |
233 | 리눅스 CD로 손상된 파일 복구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9 | 13873 |
232 | 리눅스 시스템 폴더별 명령어 알아보기 | 호스트웨이 | 2012.08.03 | 14056 |
231 | VI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2) | 호스트웨이 | 2012.04.06 | 14172 |
230 |
리눅스 디스크 사용량 확인
![]() | 호스트웨이 | 2012.04.27 | 14183 |
229 | VI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03.30 | 14255 |
228 | debian / ubuntu SSH root 사용자 접속 허용 | 호스트웨이 | 2012.11.23 | 14463 |
227 | find 명령 2번째 | 호스트웨이 | 2012.04.20 | 144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