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12 20:28
원격에서 x-windows 모드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vnc-server의 설치 및 설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vnc-server 설치
# yum install vnc-server
2. /etc/sysconfig/vncserver 파일 수정
파일 내용에 아래의 두 줄을 추가 합니다.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2]="-geometry 800x600"
3. 원격에서 vnc-server로 접속할 때의 패스워드 설정
# vncpasswd
4. vnc-server 구동 및 확인
# /etc/init.d/vncserver start
# netstat -natp | grep vnc
tcp 0 0 0.0.0.0:5801 0.0.0.0:* LISTEN 3230/Xvnc
tcp 0 0 0.0.0.0:5901 0.0.0.0:* LISTEN 3230/Xvnc
tcp 0 0 0.0.0.0:6001 0.0.0.0:* LISTEN 3230/Xvnc
5. xstartup 파일 수정
# vi /root/.vnc/xstartup
#!/bin/sh
# Uncomment the following two lines for normal desktop:
# unset SESSION_MANAGER <--- 주석 제거
# exec /etc/X11/xinit/xinitrc <--- 주석 제거
6. 원격에서 접속 확인
vncviewer나 Xming 등의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 'IP:5901' 혹은 'IP:1'을 입력하여 접속 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86 |
리눅스 comm 명령어를 통해 두개의 파일내용 비교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1.29 | 3663 |
285 | vi 편집기에서 모든글자를 대소문자로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11.23 | 3678 |
284 |
ngrinder를 이용한 부하 테스트 - 1) Controller 설치
![]() | 호스트웨이 | 2015.04.08 | 3708 |
283 | linux 특정 용량으로 파일을 찾기, 삭제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08 | 3761 |
282 | filezilla 디렉토리 목록 조회 실패 | 호스트웨이 | 2015.09.22 | 3763 |
281 |
리눅스 캐시 메모리 비우기
![]() | 호스트웨이 | 2012.12.26 | 3796 |
280 | 리눅스 서버 보안 관련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3828 |
» | VNC-server 설치 및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10.12 | 3914 |
278 |
리눅스 파일명 일괄변경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0.18 | 3917 |
277 |
리눅스 tee명령어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목록 저장
![]() | 호스트웨이 | 2012.09.28 | 3921 |
276 | Linux ssh 무작위 공격 방어하기 - fail2ban | 호스트웨이 | 2015.09.24 | 4041 |
275 | useradd 명령어 사용방법 및 옵션 | 호스트웨이 | 2015.09.08 | 4211 |
274 | 삭제된 파일 복구 - 1 | 호스트웨이 | 2015.09.23 | 4274 |
273 |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관리
![]() | 호스트웨이 | 2015.09.13 | 4378 |
272 | 리눅스 명령어 모음 | 호스트웨이 | 2012.12.06 | 4471 |
271 | /proc/sys/net/ipv4/conf/ 네트워크 세팅 | 호스트웨이 | 2015.09.22 | 4585 |
270 | ls -l 출력 시 날짜형태 변경 | 호스트웨이 | 2012.12.27 | 4997 |
269 | 오늘 생성한 파일만 조회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2.27 | 5167 |
268 | 동일 네트워크의 중복 IP검색 | 호스트웨이 | 2015.09.23 | 5242 |
267 | lrzsz 사용해보기 | 호스트웨이 | 2012.10.12 | 54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