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19 20:25
특정 유저의 사용량 제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quota 입니다.
더더더 자세한 사항은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 하실 수 있으며 아래 방법은 간단히 설정 하여 사용 하는 방법 입니다.
* /sbin/quota 설정 방법 (예, /home 디렉토리)
1. rpm -qa | grep quota
- 서버에 quota 패키지가 설치 되었는지 확인, 설치되지 않은 경우 다운 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 방법은 rpmfind.net에서 해당 패키지 이름으로 검색하여 사용 OS 버젼용 패키지를 다운 받아 설치.
2. /etc/fstab 파일에 usrquota, grpquota 옵션을 부여합니다. (단, /home 디렉토리가 /dev/hda7 인 경우)
- /dev/hda7 /home ext3 defaults,usrquota 1 2
3. mount -o remount /home
- quota 파일 시스템 적용을 위해 해당 파티션 리마운트 합니다.
4. touch /home/quota.user
chmod 600 quota.user
- 해당 파티션에 quota 파일을 생성한 후 보안을 위해 퍼미션을 600, 640 로 변경
(touch /var/quota.group)
단, linux 9.0에서는 커널에서 quota.user 대신 aquota.user 파일을 지원하므로,
quota,user 파일을 aquota.user 파일로 변환해 주셔야 합니다.
변경 방법은 convertquota -u [quota.user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명]
5. quotacheck -avug
- quota 체크.
6. quotaon -avug
or
quotaon /home
- quota 시작
7. edquota -u 계정명
- (edquota -g 계정명)계정명 의 형식으로 quota 설정해 줍니다.
(block은 총 용량을 의미하여 inode는 파일의 갯수를 의미합니다.
soft는 계정이 사용할수 있는 총용량(오버해서 사용가능), hard는 계정의 절대 용량(오버 안됨)을 의미 합니다.
Disk quotas for group test (gid 500):
Filesystem blocks soft hard inodes soft hard
/dev/hda7 119208 30724 307240 12 0 0
8. repquota -a
- 전체의 quota 설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uota -v 계정명 (자신의 quota 설정을 확인합니다. or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sbin/quota 실행하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9. edquota -p 설정된계정 동일설정계정 동일설정계정 . . . .
- quota 설정을 다른 사용자와 동일하게 설정하기
/sbin/edquota -p 설정된계정 설정하고픈계정들...(공백으로 계속 추가 가능)
설정된 계정와 뒤의 설정하고픈 계정들 모두 동일한 설정으로 세팅하시면 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46 | 데비안 기본 라이브러리 설치 | 호스트웨이 | 2008.06.03 | 33934 |
345 | SFTP 퍼미션 조정 및 chroot 설정으로 상위폴더 접근 제한하기 | 호스트웨이 | 2015.10.29 | 33556 |
344 | yum 으로 패키지그룹 관리하기 | jook | 2009.04.22 | 33489 |
343 | 현재 설치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3.30 | 33281 |
342 | SELinux 제어 방법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3040 |
341 | Privilege separation user sshd does not exist 메세지 | sylee | 2008.06.04 | 32781 |
340 | 리눅스에서 NTFS 읽고 쓰기 | 호스트웨이 | 2009.04.18 | 32740 |
339 | 가장 안정적인 NTP 서버 주소 | 호스트웨이 | 2012.07.20 | 32554 |
338 | dmidecode 명령 | jook | 2009.10.30 | 32449 |
337 | performance of JFS | HOSTWAY | 2008.06.04 | 32294 |
336 | mii-tool로 랜카드 속도와 duplex모드 조절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2047 |
» | Quota 설정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2039 |
334 | 리눅스에서 wget 명령어의 사용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6.01 | 31997 |
333 | vmstat 사용법 | sylee | 2008.05.15 | 31949 |
332 | LVM 명령 요약 | 호스트웨이 | 2012.09.06 | 31890 |
331 | ssh 포트 변경 방법 | sylee | 2008.05.14 | 31770 |
330 | fstab 손상으로 / 파티션이 Read-Only 상태일 때 Remount 하는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10.05 | 31756 |
329 | 파일 수정일자 변경하기 | jook | 2008.05.28 | 31687 |
328 | 터미널 접속후 자동 로그아웃 설정하기 | 호스트웨이 | 2008.05.19 | 31476 |
327 | 부하 테스트 - 1편 / 시스템 하드웨어 stress tool | 호스트웨이 | 2012.04.20 | 313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