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23 16:05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m 명령어로 삭제할 경우, 해당블럭에 inode 번호값으로 파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inode 번호를 알고 있으면 복구가 가능하지만, 수많은 파일들의 inode 번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삭제된 파일을 무조건 복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복구 가능한 방법등을 소개합니다.
safedelete 라는 리눅스 휴지통을 만들어 복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afedelete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지만, rm과 다르게 삭제시, 특정 디렉토리에 보관합니다.
1. safedelete 설치
ftp.linux.co.kr 이나 ftp.nuri.net 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anonymous 로 접속)
2. rm 명령어를 safedelet 로 대체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의 .bashrc 파일 내용에서 rm 의 alias 를 safedelete 로 설정합니다.
#vi .bashrc
alias rm='safedelete' 추가
3. 모든 사용자에 설정
/etc/skel 디렉토리의 .bashrc 파일 내용도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vi /etc/skel/.bashrc
4. 삭제된 파일 복구하기
safedelete 로 삭제된 파일은 undelete 로 복구 가능합니다.
#undelete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6 | /proc/sys/net/ipv4/conf/ 네트워크 세팅 | 호스트웨이 | 2015.09.22 | 10899 |
25 | /etc/fstab 등록 | 호스트웨이 | 2015.09.22 | 11611 |
24 | mknod_장치파일을 만들어 사용 | 호스트웨이 | 2015.09.22 | 6945 |
23 | Linux 파일명이 깨진파일 삭제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9147 |
22 | 리눅스 터미널 기반 모니터링 툴 "glances" | 호스트웨이 | 2015.09.23 | 8378 |
» | 삭제된 파일 복구 - 1 | 호스트웨이 | 2015.09.23 | 9739 |
20 | 동일 네트워크의 중복 IP검색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1898 |
19 | 서버 계정을 다른서버로 이전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2875 |
18 | 터미널 접속 시 한글이 깨질 때 | 호스트웨이 | 2015.09.23 | 7586 |
17 | 리눅스 상에서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7484 |
16 | 서버시간 매시간마다 동기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12247 |
15 | 리눅스 서버 보안 관련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9523 |
14 | 사용하지 않는 데몬 끄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8196 |
13 | 프로그램의 사용 메모리 확인 | 호스트웨이 | 2015.09.23 | 7918 |
12 | 삭제된 파일 복구 - 2 | 호스트웨이 | 2015.09.24 | 8967 |
11 | 사용 가능한 쉘 확인 및 변경법 | 호스트웨이 | 2015.09.24 | 11698 |
10 | Linux ssh 무작위 공격 방어하기 - fail2ban | 호스트웨이 | 2015.09.24 | 9955 |
9 | SYN_Flooding 공격 막기 | 호스트웨이 | 2015.09.25 | 7410 |
8 | Linux 설치된 OS 커널의 Bit확인 | 호스트웨이 | 2015.09.26 | 10994 |
7 | find 명령을 통한 소유자, 백도어, 파일 찾기 | 호스트웨이 | 2015.09.29 | 11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