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05 06:47
/dev/null의 경우는 log파일을 지울때 심심찮게 소개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ev/zero도 얼핏보면 비슷합니다. 둘 다 비우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할 경우 /usr/local/apache2/logs/access.log의 내용은 비워지게 됩니다.
cat /dev/null > /usr/local/apache2/logs/access.log
아래와 같이 zero를 사용할 경우는 파티션 용량이 가득차 다운되어 버리는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cat /dev/zero > /usr/local/apache2/logs/access.log
이 둘은 모두 비우는 역할을 수행 하지만, null은 비우기만 하는 반면 zero의 경우는 비우면서 무수히 많은 0으로 채우게 됩니다.
위 명령의 경우는 무한대로 파일 사이즈가 늘어나게 됩니다.
같은 듯 다른 null, zero 였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6 |
SFTP 접속 방법
![]() | 호스트웨이 | 2012.09.21 | 4106 |
125 | partprobe - 리부팅 없이 사용 중인 파티션 재인식 | 호스트웨이 | 2012.12.28 | 4079 |
124 | /etc/fstab 등록 | 호스트웨이 | 2015.09.22 | 3983 |
123 | 서버 계정을 다른서버로 이전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23 | 3954 |
122 | useradd 명령어 사용방법 및 옵션 | 호스트웨이 | 2015.09.08 | 3857 |
121 | 리눅스 명령어 모음 | 호스트웨이 | 2012.12.06 | 3834 |
120 | VNC-server 설치 및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10.12 | 3644 |
119 | 서버시간 매시간마다 동기화 설정 | 호스트웨이 | 2015.09.23 | 3632 |
118 | find 명령을 통한 소유자, 백도어, 파일 찾기 | 호스트웨이 | 2015.09.29 | 3543 |
117 | ls -l 출력 시 날짜형태 변경 | 호스트웨이 | 2012.12.27 | 3517 |
116 |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관리
![]() | 호스트웨이 | 2015.09.13 | 3489 |
115 | vi 편집기에서 모든글자를 대소문자로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11.23 | 3363 |
114 | 리눅스 who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12.12 | 3239 |
113 | 사용 가능한 쉘 확인 및 변경법 | 호스트웨이 | 2015.09.24 | 3213 |
112 |
리눅스 파일명 일괄변경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0.18 | 3195 |
111 |
리눅스 tee명령어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목록 저장
![]() | 호스트웨이 | 2012.09.28 | 3013 |
» |
/dev/null 과 /dev/zero의 차이
![]() | 호스트웨이 | 2012.10.05 | 2943 |
109 |
리눅스 comm 명령어를 통해 두개의 파일내용 비교하기
![]() | 호스트웨이 | 2012.11.29 | 2877 |
108 | 리눅스 간단 시스템 점검 1편 | 호스트웨이 | 2012.11.14 | 2859 |
107 | 오늘 생성한 파일만 조회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2.27 | 28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