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7 02:10
웹서버 운영시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인 /tmp가 필요합니다.
/tmp 디렉토리는 기본값으로 아무나 읽고, 쓰고, 실행하도록 설정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서비스를 통해 /tmp 디렉토리에 악성, 해킹 스크립트를 넣어서 실행 시킬 수 있어, 서버 보안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fstab파일의 /tmp 디렉토리에 권한 값을 수정하여 줍니다.
(*fstab란, 리눅스 부팅시 각 파티션으로 마운트하는 정보 및 권한 등에 대한 설정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입니다.)
#주의 /tmp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구동 중이라면,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nginx, php, mysql등...)
[root@yclee ~]# vi /etc/fstab
/tmp설정 중 defaults로 되어있는 부분에 noexec,nodev,nosuid를 추가한 뒤 저장합니다.
*noexec : 사용자가 실행 파일의 실행을 할수없도록 설정합니다.
*nodev : 특별한 장치나 문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불가하도록 설정합니다.
*nosuid : SUID/SGID 접근이 불가하도록 설정합니다.
/var/tmp 심볼릭링크 설정
/tmp 디렉토리 이외에도 /var/tmp 디렉토리가 존재기때문에, 서로 동일하도록 심볼릭 링크를 설정해줍니다.
[root@yclee ~]# rm -rf /var/tmp
/var/tmp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oot@yclee ~]# ln -s /tmp /var/tmp
/var/tmp 접속시 /tmp로 연결 되도록 링크 설정합니다.
[root@yclee ~]# reboot
fstab 설정을 변경한 뒤엔 서버를 재부팅해야 해당 설정이 적용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6 | scp 명령어를 이용한 파일 복사 및 전송 | 호스트웨이 | 2012.03.16 | 221082 |
385 | ls 명령어의 파일 사이즈 쉽게 확인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0.23 | 95074 |
384 | 리눅스 서버 누가 언제 무슨 작업을 했는지 확인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03.09 | 78525 |
383 |
Linux Charset 확인 및 변경
![]() | 호스트웨이 | 2012.03.30 | 72377 |
382 | ulimit 설정 관련 | 호스트웨이 | 2015.07.29 | 67807 |
381 |
Swap 메모리 늘리기
![]() | 호스트웨이 | 2012.03.30 | 61610 |
380 | 비대해진 로그 파일 내용을 비우는 방법 - /dev/null | 호스트웨이 | 2012.03.16 | 54896 |
379 | 서비스 이름으로 포트 번호 확인하기 | 호스트웨이 | 2012.04.13 | 54383 |
378 | 국가명 약어 (국가코드) | 호스트웨이 | 2012.04.13 | 51093 |
377 | xinetd 소개 및 설정 | 호스트웨이 | 2012.06.29 | 49687 |
376 |
top 명령어 및 옵션 설명
![]() | 호스트웨이 | 2012.03.27 | 48192 |
375 | Kernel Parameters | HOSTWAY | 2008.06.04 | 43601 |
374 | ssh-key를 생성하여 서버에 패스워드 없이 접속하는 방법 | jook | 2008.06.25 | 43328 |
373 | 강제 umount 방법 (umount : device is busy 발생시) | 호스트웨이 | 2012.11.30 | 43026 |
372 |
fdisk 명령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파티션 나누기
![]() | 호스트웨이 | 2015.11.30 | 40195 |
371 | openssl 간단 사용법 | 호스트웨이 | 2008.12.10 | 39585 |
370 | tcpdump 기본 사용 | sylee | 2008.07.02 | 39340 |
369 | head 와 tail 사용하기 | sylee | 2008.05.14 | 38596 |
368 | 시스템 시간 확인 및 동기화 하기 | sylee | 2008.05.15 | 38257 |
367 |
특정 계정만 su 명령어 사용
![]() | 호스트웨이 | 2012.05.05 | 37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