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09 18:07
# EXT 파일시스템은 최대 16TB로 제한되어 있어 고용량 스토리지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xfs 파티션을 이용하여 16TB 이상 고용량 파티션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설치방법
1. NFS, XFS, PARTED 설치
- yum install nfs* xfsprogs parted -y
2. 파티션 설정
- GPT 포멧
- fdisk -l 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storage 디스크는 raid5, 또는 raid6로 설정할 수 있으니 fdisk -l 로 꼭 디스크 확인합니다.)
======================================================================================== root@:/] parted /dev/sdb GNU Parted 1.8.1 Using /dev/sdb 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 (parted) mklabel gpt Warning: The existing disk label on /dev/sdb will be destroyed and all data on this disk will be lost. Do you want to continue? parted: invalid token: gpt Yes/No? yes New disk label type? [msdos]? gpt (parted) mkpart Partition name? []? 파티션 네임으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엔터 File system type? [ext2]? [엔터] Start? 0 End? 100% 단일 파티션으로 사용할것이고, 전체 디스크를 사용할 것이므로 시작=0 ~ 끝 100% (parted) quit Information: Don't forget to update /etc/fstab, if necessary. ======================================================================================== |
- nfs 포멧
mkfs.xfs /dev/sdb1
3. moount 및 디렉토리 생성, 사용자 권한 설정
- mkdir /Data
- mount -t nfs /dev/sdb1 /Data
- 재부팅 시 mount 되도록 fstab 설정
vi /etc/fstab
/dev/sda1 /Data xfs defaults 0 0
- 재부팅 하여 정상적으로 mount 되는지 여부를 확인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6 | cdp 백업 프로세스 관련 | 호스트웨이 | 2015.09.07 | 1401 |
385 | Linux vmstat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5.09.08 | 1512 |
384 | 잘못푼 압축파일(tar.gz) 지우는 방법 | 호스트웨이 | 2012.12.07 | 1577 |
383 | sftp 서비스 막기 | 호스트웨이 | 2012.12.27 | 1610 |
382 | 우분투 서버에 JDK7 설치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13 | 1736 |
381 | 2015년 7월1일 윤초 발생 관련 점검 방안 | 호스트웨이 | 2015.06.30 | 1907 |
380 | Linux 외장 저장장치 mount | 호스트웨이 | 2015.09.10 | 1908 |
379 | 리눅스 whereis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09.28 | 1920 |
378 | 현재 접속 사용자(머신/디바이스)수 알아내기 | 호스트웨이 | 2012.11.16 | 1941 |
377 | Log file 주기적으로 정리하기 | 호스트웨이 | 2015.09.08 | 2062 |
376 | queryperf 설치 및 사용 방법 (DNS 스트레스 테스트) | 호스트웨이 | 2012.11.29 | 2154 |
375 | 특정 파일이 소속된 rpm 패키지 찾기 | 호스트웨이 | 2012.12.14 | 2172 |
374 | locate 명령어를 이용해 빠르게 지정한 파일 찾기 | 호스트웨이 | 2012.12.12 | 2181 |
373 | arch 명령어를 통해 컴퓨터 종류 알기 | 호스트웨이 | 2012.11.16 | 2209 |
372 | kbd_mode 명령어를 통해 인식중인 키보드모드 출력 및 변경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1.06 | 2212 |
371 | top 사용 추가 tip | 호스트웨이 | 2015.09.15 | 2243 |
370 | 리눅스 free 명령어 | 호스트웨이 | 2012.12.26 | 2338 |
369 | limits.conf 설명 | 호스트웨이 | 2012.11.09 | 2531 |
368 | /proc 디렉터리내 파일 정보 알아보기 | 호스트웨이 | 2012.11.21 | 2538 |
367 | free -m 에서 free (남는 메모리 양) 최소량 제한하기 | 호스트웨이 | 2012.12.21 | 2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