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7 22:13
S3 bucket 요청 빈도에 따라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Case를 알아보자.
S3 bucket 일상적으로 초당 100개의 put/list/delete/ 초당 300개의 get 요청을 초과하는 경우 지침을 따라 성능과 학장을 유지하자
S3는 요청 빈도가 증가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버킷을 자동으로 분할한다,
다양한 요청 유형을 포함하는 워크로드 : Get,put,delete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객체의 적절한 키 이름을 선택하면
S3 인덱스에 대해 지연 시간이 짧은 액세스가 제공되어 성능이 향상 됨,
GET이 많이 사용되는 워크로드: Get으로 요청하는 경우 CDN(Cloudfront) 사용을 권고 함
짧은 latency 및 높은 전송 속도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배포가 가능하도록 하여 요청을 캐시에서 처리 할 수 있어 get 요청 수가 줄어 드는 효과가 있음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dev/request-rate-perf-considerations.html#get-workload-considerations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 | T2 instance 특징은 무엇인가요? | 호스트웨이 | 2016.04.28 | 1071 |
10 |
AWS Lamda 이용하여 cron 처럼 사용
![]() | 호스트웨이 | 2015.09.13 | 912 |
9 | Linux AWS CLI 환경 구성 | 호스트웨이 | 2015.09.13 | 885 |
8 | aws cli preview 기능 사용 | 호스트웨이 | 2015.09.13 | 789 |
7 | AWS S3 파일 타임스템프 확인 | 호스트웨이 | 2015.09.13 | 733 |
6 | AWS ELB TCP 적용 방법 | 호스트웨이 | 2016.06.01 | 709 |
5 | apache와 iELB 간 이슈 | 호스트웨이 | 2015.09.06 | 641 |
4 | AWS divice farm 지원 단말기 목록 검색 | 호스트웨이 | 2015.09.13 | 457 |
3 | s3cmd multipart uploads | 호스트웨이 | 2015.09.11 | 452 |
» | S3 성능 고려 사항 | 호스트웨이 | 2016.04.27 | 364 |
1 | Sub 도메인 확장 | 호스트웨이 | 2016.04.27 | 302 |